1분기 실적 3.6% 플러스로 2분기 연속 증가세, 화장품 및 전자응용기기 강세
올해 들어 국내 중소기업 수출 최대 마켓은 기존 중국에서 미국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중소벤처기업부가 5월 30일 발표한 ‘2024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77.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하였다. 중소기업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화장품, 플라스틱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주력 제품 수출 호조세와 주력 시장인 미국의 경기 호황에 따른 수요 증가로 분석된다. 다만 총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17.0%로 전분기 대비 0.1%p 감소했다.
작년 4분기부터 플러스로 전환된 중소기업 수출은 올해 1분기도 증가를 기록하며 2분기 연속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별로 보면 1월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8.2% 대폭 상승하였으나, 2월(△1.0%), 3월(△3.7%)의 경우 조업일수 감소로 인해 수출액이 소폭 감소하였다.
하루평균 중소기업 수출액은 4억1,000만 달러 수준이었으며, 1분기 누계 수출 중소기업 수는 6만2,214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1분기 10대 중소기업 주요 수출품목 중 화장품, 플라스틱제품, 자동차 부품, 반도체제조용장비, 기타기계류, 반도체, 전자응용기기 등 7개 품목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다.
화장품 수출의 경우 對중국 수출 플러스 전환, 상위 10개국 중 8개 국가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품목 수출액 1위를 달성하였다. 화장품은 대중국 수출도 플러스로 전환됐다. 특히 대기업의 화장품 수출증감률은 -16.4%를 보이는 가운데, 중소기업은 30%가 넘는 성장률을 보이면서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67.4%)은 전년 동기 대비 4.5%p 늘어났다.
12억4,000만 달러를 수출한 2위 플라스틱제품은 세부품목 중 필름류(비중 59%, 스마트폰용 등) 수출이 1분기 성장을 주도했다. 배터리분리막(7.2%, 이차전지용 등)은 중국·헝가리 등으로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말레이시아(-19.5%)·일본(-11.5%) 감소로 총 수출실적 증가 폭을 상쇄했다.
자동차부품 수출은 미국(7.9%)·멕시코(7.6%) 등 북미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한 반면 일본으로의 수출은 -10.5%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4.4%)·폴란드(53.6%) 등 국가로도 수출이 증가하면서 10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타기계류는 중국기업의 현지 점유율이 증가하며 중국시장 수출이 38.7% 감소했다. 그러나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전기차 기업 투자 확대로 이차전지 관련 장비 수출이 증가해 대미국 수출이 288.2% 증가했다. 이에 힘입어 전체 중소기업 수출이 7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반도체는 글로벌 시장 회복세에 따른 수요 증가와 메모리 감산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반등해 6억7,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시스템반도체는 3월 수출이 증가로 전환됐으나 1분기 실적(-0.8%)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메모리반도체는 4개월 연속 증가 속에 1분기 47.1%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자응용기기는 한국 이차전지 기업의 미국 현지 투자 확대로 대미국 배터리 장비 수출이 57.4% 증가했다. 대중국 반도체장비 수출이 6.8%증가하고, 인도(+38.8%)와 베트남(+30.9%) 등 신남방 시장에서 호조를 보이면서 중소기업 전체 수출이 6억6000만 달러로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10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1% 성장을 기록했다. 키르기스스탄(49.4%)과 이집트(96.9%)?UAE(42.6%) 등 중동 대상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러시아 제재 확대와 제3국 우회 수출 단속강화로 인해 러시아(-39.7%)와 카자흐스탄(-52.6%)에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1분기 10대 주요 수출국 중 미국, 베트남, 러시아, 홍콩, 인도, 멕시코, 대만 등 7개 국가에서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다. 특히 1분기 수출액 1위를 기록한 미국의 경우 경기 호황과 산업정책에 따른 투자 확대기조에 따라 기타기계류, 자동차부품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화장품 수출도 호조세를 이어가며 전년동기대비 24.5%(+9.3억달러) 성장하였다. 반면 중국(-3.3%)을 비롯해 일본(-6.9%), 태국(-0.5%)을 대상으로 한 수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력 제품 수출 호조세와 주력 시장인 미국의 경기 호황에 따른 수요 증가를 지목했다.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중국에서는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합성수지(-1.8%)와 기타기계류(-38.7%) 수출이 크게 줄어들면서 우리 중소기업의 최대 수출시장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교체됐다고 덧붙였다.
올해 들어 국내 중소기업 수출 최대 마켓은 기존 중국에서 미국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중소벤처기업부가 5월 30일 발표한 ‘2024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77.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하였다. 중소기업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화장품, 플라스틱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주력 제품 수출 호조세와 주력 시장인 미국의 경기 호황에 따른 수요 증가로 분석된다. 다만 총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17.0%로 전분기 대비 0.1%p 감소했다.
작년 4분기부터 플러스로 전환된 중소기업 수출은 올해 1분기도 증가를 기록하며 2분기 연속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월별로 보면 1월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8.2% 대폭 상승하였으나, 2월(△1.0%), 3월(△3.7%)의 경우 조업일수 감소로 인해 수출액이 소폭 감소하였다.
하루평균 중소기업 수출액은 4억1,000만 달러 수준이었으며, 1분기 누계 수출 중소기업 수는 6만2,214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1분기 10대 중소기업 주요 수출품목 중 화장품, 플라스틱제품, 자동차 부품, 반도체제조용장비, 기타기계류, 반도체, 전자응용기기 등 7개 품목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다.
화장품 수출의 경우 對중국 수출 플러스 전환, 상위 10개국 중 8개 국가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품목 수출액 1위를 달성하였다. 화장품은 대중국 수출도 플러스로 전환됐다. 특히 대기업의 화장품 수출증감률은 -16.4%를 보이는 가운데, 중소기업은 30%가 넘는 성장률을 보이면서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67.4%)은 전년 동기 대비 4.5%p 늘어났다.
12억4,000만 달러를 수출한 2위 플라스틱제품은 세부품목 중 필름류(비중 59%, 스마트폰용 등) 수출이 1분기 성장을 주도했다. 배터리분리막(7.2%, 이차전지용 등)은 중국·헝가리 등으로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말레이시아(-19.5%)·일본(-11.5%) 감소로 총 수출실적 증가 폭을 상쇄했다.
자동차부품 수출은 미국(7.9%)·멕시코(7.6%) 등 북미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한 반면 일본으로의 수출은 -10.5%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4.4%)·폴란드(53.6%) 등 국가로도 수출이 증가하면서 10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타기계류는 중국기업의 현지 점유율이 증가하며 중국시장 수출이 38.7% 감소했다. 그러나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전기차 기업 투자 확대로 이차전지 관련 장비 수출이 증가해 대미국 수출이 288.2% 증가했다. 이에 힘입어 전체 중소기업 수출이 7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반도체는 글로벌 시장 회복세에 따른 수요 증가와 메모리 감산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반등해 6억7,000만 달러를 수출했다. 시스템반도체는 3월 수출이 증가로 전환됐으나 1분기 실적(-0.8%)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메모리반도체는 4개월 연속 증가 속에 1분기 47.1%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자응용기기는 한국 이차전지 기업의 미국 현지 투자 확대로 대미국 배터리 장비 수출이 57.4% 증가했다. 대중국 반도체장비 수출이 6.8%증가하고, 인도(+38.8%)와 베트남(+30.9%) 등 신남방 시장에서 호조를 보이면서 중소기업 전체 수출이 6억6000만 달러로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10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1% 성장을 기록했다. 키르기스스탄(49.4%)과 이집트(96.9%)?UAE(42.6%) 등 중동 대상 수출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러시아 제재 확대와 제3국 우회 수출 단속강화로 인해 러시아(-39.7%)와 카자흐스탄(-52.6%)에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1분기 10대 주요 수출국 중 미국, 베트남, 러시아, 홍콩, 인도, 멕시코, 대만 등 7개 국가에서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다. 특히 1분기 수출액 1위를 기록한 미국의 경우 경기 호황과 산업정책에 따른 투자 확대기조에 따라 기타기계류, 자동차부품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화장품 수출도 호조세를 이어가며 전년동기대비 24.5%(+9.3억달러) 성장하였다. 반면 중국(-3.3%)을 비롯해 일본(-6.9%), 태국(-0.5%)을 대상으로 한 수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력 제품 수출 호조세와 주력 시장인 미국의 경기 호황에 따른 수요 증가를 지목했다.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중국에서는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합성수지(-1.8%)와 기타기계류(-38.7%) 수출이 크게 줄어들면서 우리 중소기업의 최대 수출시장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교체됐다고 덧붙였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