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출 화주 2곳 중 1곳은 올해 마켓에 대해서 부정적인 전망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수출 실적 50만 달러 이상의 기업 1,327개사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수출 기업의 2023년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46.9%로 ‘개선(16.9%)’ 될 것이라는 응답의 2.8배에 달해, 수출 여건이 올해에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화학공업제품(58.7%),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56.0%), 철강 및 비철금속 제품(52.0%)의 경우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수출 1위 품목인 반도체 역시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45.2%에 달했다.
손익분기점 환율은 달러당 1,250원 내외로 응답된 가운데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중반 이하로 떨어지는 등 환율 하락 기조가 강화되고 있어, 수출 기업의 수익성 하락 가능성이 커질 전망이다.
수출 기업들은 미국의 불확실한 금리 정책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를 주요 리스크로 꼽고 있는 만큼, 환 변동 리스크가 큰 중소?중견 기업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 기업들은 올해의 국내 및 해외 투자를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는 등 소극적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기업의 43%는 국내와 해외 투자 모두 축소하겠다고 응답했으며 대기업 투자 심리 악화는 우리의 미래 수출 경쟁력 약화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투자 활성화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에서 국내외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응답률이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반도체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수출 기업은 對中 수출의 감소세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39.5%)하였으며, 특히 對中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 화학공업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 기업의 우려가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기업의 60.9%는 자사의 경쟁력이 중국 기업보다 우월하다고 응답한 한편, 철강?비철금속, 무선통신 품목 등에서는 한-중 기업 간 경쟁력 격차가 크지 않아 해당 업종의 수출 경쟁력 확보 노력이 시급했다.
수출 기업은 올해 수출의 3대 리스크로 세계 경제 둔화, 공급망 애로, 환율?금리 변동을 꼽았다.
한편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6.3%, 러시아-우크라이나 리스크에 대한 응답은 5.9%에 불과해, 기업들은 기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은 수출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세제 지원 확대와 노동시장 개혁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법인세 인하’(18.1%), ‘주52시간 근무제 보완’(17.7%), ‘R&D 투자 세액 공제 등 세제 지원 확대’(15.7%), ‘최저 임금 인상 속도 조정’(13.6%) 등을 꼽았다.
플라스틱?철강 등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업종은 법인세 인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전기전자?반도체 등 R&D 경쟁력이 중요한 업종에서는 투자 세액 공제가 시급하다고 답변했다.
또한 수요에 따른 생산 조절이 중요한 자동차?부품, 기계 업계에서는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기한 내 운송이 중요한 농수산물 업계는 안전운임제를 개편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